엘튼 메이요의 결론
1) 사람은 경제적인 대가보다 사회적 욕구의 충족을 중시한다.
2) 사람의 행동은 합리적이지 않고 감정에 크게 좌우된다.
3) 사람은 공식적인 조직보다 비공식적 조직(직장 내 파벌 등)에 영향받기 쉽다.
4) 따라서 사람의 노동 의욕은 객관적인 직장 환경의 좋고 나쁨보다 직장의 인간관계에 더 좌우된다.
의미 : 생산성 향상에 비용 및 효율뿐만 아니라 종업원의 감정까지 고려, 풍요로와진 대중이 임슴 이외의 것도 중요시하는 사회인으로 변모, 동기부여/리더십/제안 제도 및 소집단 활동 등은 모두 인간관계론에서 시작된 것임
'1Page로 배우는 경영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고르 앤소프의 기업전략론 (0) | 2023.02.12 |
---|---|
피터 드러커의 Management (0) | 2023.02.12 |
체스터 버나드의 경영전략 (0) | 2023.02.12 |
앙리 파욜의 경영관리 프로세스 (0) | 2023.02.12 |
프레데릭 테일러 과학적관리 (0) | 202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