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MA2 무선 다중접속 방식 휴대전화 기지국은 하나의 기지국이 한정된 주파수대역을 가지고 같은 영역에서 다수의 가입자가 동시에 통화할 수 있도록 접속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접속 방법을 다중접속(Multiple Access)이라고 한다. 휴대전화에서 사용하는 다원접속에는 각 채널을 주파수로 나누어 이용하는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FDMA :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과 시간을 조금씩 분할해서 확보한 복수의 채널을 각 이용자에게 할당하는 방식인 시분할 다중접속(TDMA :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각 채널의 신호에 부호화 처리를 해서 다중접속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 세 가지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은.. 2023. 2. 5. FDMA, TDMA, CDMA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더 많은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다 보니 여러가지 기술이 나왔는데, 오늘은 이러한 다중접속(Multiple Access) 기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중접속 하면 FDMA, CDMA, TDMA 등이 대표적인데 우선 아날로그 방식인 FDMA부터 살펴보죠. FDMA는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의 약자로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이라고 합니다. FDMA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작은 주파수 대역(채널)으로 나누고 이를 각 가입자에게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이건 이전에도 설명을 잠시 드렸는데 만약 300KHz라는 주파수 대역폭이 있을때 이를 한 가입자에게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30KHz.. 2023. 1.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