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를 위한 데이터과학41 정보의 수집과 분석 ▷ 정보 수집 계획 - 목적 : 정보를 수집하는 목적은? - 내용 : 어떤 정보를 수집할 것인가? - 도구 : 정보 수집에 필요한 도구는? - 정보원 : 정보 수집에 필요한 자료원은? - 일정 : 언제까지 수집할 것인가? - 담당 : 누가 담당할 것인가? ▷ 정보 수집 시 체크포인트 - 정보 수집의 목적을 명확히 함 - 정보의 신빙성, 적합성을 다면적으로 체크함 - 가능한 한 정량화하며 정성적 자료는 정량화할 수 있도록 연구함 - 여러 도구들을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함 - 자료출처, 즉 정보원을 명확히 밝힘 ▷ 정보분석 프로세스 - 정보의 집계 및 정리 : 설문, 인터뷰 등의 자료 집계/분류, 영역별 분류, 기타 자료의 기록과 정리 - 정보의 가공 : 분류 정리된 자료를 해석하기 용이하도록 표나 그래프로 변.. 2023. 5. 31. 검정의 오류 2023. 4. 25. 가설검정의 종류 Source : 광모의 지식창고 2023. 4. 25. 통계 분석 방법 Source : 이훈영, 연구조사방법론 2023. 4. 25. 표본추출 과정 1) 모집단의 확정 : 사람, 제품, 기업, 지역 등과 같은 조사대상이 되는 집합체(set)를 설정함, 인구통계학적 특성, 지역 및 시간 개념을 고려하여 모집단을 결정함 2) 표본프레임의 선정 : 실제 표본추출의 대상이 되는 표본프레임을 결정함, 표본프레임은 모집단에 포함된 조사대상들의 명단이 수록된 목록 3) 표본추출 방법의 결정 : 확률표본추출방법과 비확률표본추출방법 중에서 적합한 표본추출방법을 선택함 4) 표본 그키의 결정 : 조사예산과 시간상의 제약조건을 고려해서 표본의 크기를 결정함, 신뢰구간 접근법이나 가설검정 접근법을 활용해서 결정함 5) 표본추출 : 선정된 조사대상을 직접 찾아서 표본으로 추출함 2023. 4. 10. 연구결과 보고서의 구성 1. 서론 - 명확하고 간결하게 보고서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명해야 함 - 내용의 개요 및 이 연구가 왜 중요하고 해당분야에서의 이론적 기여도가 어떠한지를 소개하는 것이 좋음 2. 이론적 배경 = 문헌연구 - 연구는 타인의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문헌고찰이 매우 중요함 - 기존 연구들은 연구의 목적과 논지에 부합되는 것만 선별하여 제시 3. 연구모형 및 방법론 - 연구에 사용된 가설과 연구방법론을 제시함 4. 분석 결과 - 결과(Findings) : 연구의 통계분석 또는 사례분석 결과를 제시함 5. 결론 - 연구결과는 해당 분야 연구의 내용을 요약 정리함 - 토론(Discussion) : 결과에 대한 해석, 연구문제와 비교한 통합적 설명, 기존 연구결과와의 비교, 향후 연구 방향 등이 모두 포함됨 2023. 4. 4.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