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오늘은 릴리즈17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3GPP는 릴리즈15, 16에 이어 릴리즈17을 올해 3월에 승인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계속 말씀드렸듯이 5G의 3가지 속성 eMBB, URLLC, mMTC 중 릴리즈15는 eMBB에 Focus한 것이고 릴리즈16은 eMBB + URLLC이며 릴리즈17에 이르러서야 eMBB + URLLC + mMTC가 모두 포함되었습니다. 그러니까 릴리즈17은 5G 표준의 완성이라고 봐도 좋을 듯 합니다. 릴리즈17은 NPN과 V2X 기능을 강화하고 RedCap과 같은 신규 기능이 추가된 것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들 이외에 많은 신규 기술들이 포함되었는데 너무 많아서 그냥 아래 그림으로 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릴리즈17의 주요 개선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자료 출처 : 퀄컴)
- 대용량 MIMO 기능 향상 : multi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와 멀티빔 운용,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트리거링/스위칭 및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측정/보고
- 커버리지 향상 : 다중 전송과 Frequency Hopping에 걸친 Joint Channel Estimation
- 주파수 스펙트럼 확장 : 24.25~52.6GHz부터 71GHz에 이르기까지 FR2-2라고 불리는 스펙트럼까지 확장, 60GHz 비면허 대역 지원 포함
- URLLC, NPN 등 추가 개선 사항 : 비면허 스펙트럼 호환성, 기기간 멀티플렉싱 및 우선순위 지정 개선
무엇보다 제 입장에서 기대되는 것은 RedCap(Reduced Capability)입니다. 이전에는 IoT for NR, NR Light, NR Lite 등으로 불렸었는데 명칭이 조금더 섹시하게 바뀌었네요. 릴리즈17에서 RedCap은 20MHz 채널 대역폭에서 최대 100Mbps 속도를 지원합니다. 또한 1Tx 2Rx/1Tx 1Rx 구조를 지원함으로써 DL MIMO를 하지 않을 경우 안테나가 1개여도 됩니다. 아직 먼 얘기지만 릴리즈18에서는 채널 대역폭 5MHz에서 10Mbps 전송속도를 지원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외에도 NTN, V2X 사이드링크 강화, 정밀 포지셔닝 기능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NTN은 비지상파라는 뜻으로 위성통신을 의미합니다. 위성통신에 대해서는 사실 릴리즈16부터 논의가 시작되었는데 인공위성을 백홀로 사용하거나 또는 기지국으로 사용하는 형태로 5G 네트워크 구조에 통합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이기는 한데 향후 6G 등에서 위성통신은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실 커버리지 관점에서는 위성만한게 없으니까 말입니다.
릴리즈17 다음은 당연히 릴리즈18이 될 겁니다. 그런데 릴리즈18은 5G Advanced로 부르기로 했습니다. 5G 어드밴스드는 3GPP가 정의한 차세대 5G 기술로 6G로 가기 전의 과도기적 기술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릴리즈18에서는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을 적용하는 방안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고 하네요. 릴리즈18 완료 예정일은 2023년 12월입니다. 아직 멀었네요!!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5G 특화망은 무엇인가요? (0) | 2023.02.11 |
---|---|
Rel.16 개요 (0) | 2023.02.11 |
5G 표준화 진화 방향 (0) | 2023.02.11 |
4G LTE와의 차이점으로 이해하는 5G (0) | 2023.02.11 |
결론없는 화웨이의 보안 이슈 (0)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