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GPP Rel.15부터를 5G라고 한다는 점은 이전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최근에 Rel.16이 확정되었는데 오늘은 5G 표준 진화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하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Rel.15는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목표로 하는 eMBB 속성에 초점을 맞춘 표준입니다. 즉 5G 목표의 다른 속성, 예를 들어 URLLC나 mMTC는 Rel.15에서 지원되지 않습니다. Rel.15는 빠른 시간에 5G를 상용화하고 또한 기존 LTE 장비를 활용하여 5G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Rel.16이 Rel.15 대비 가장 크게 차이가 나는 점은 바로 URLLC를 지원한다는 점입니다. Rel.16부터 URLLC를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5G 기반의 V2X 서비스가 가능해집니다. 기존 LTE V2X의 경우는 무선 구간에서 지연이 10ms 정도여서 DSRC 방식인 Wave에 비해 열위에 있었지만 URLLC를 지원하게 되면 지연이 최대 1ms가 되므로 실시간 서비스가 가능해집니다. 물론 자율주행차 이외에 드론이나 로봇, 스마트팩토리 등 초저지연 속성을 요구하는 다른 서비스도 Rel.16부터 가능해집니다.
아래 표는 3GPP 5G 규격의 진화 방향을 요약한 것입니다.
일정 | 주요 규격 | |
Rel.15 | 2018년 6월 | NSA, SA, LTE에서 5G로의 System Migration |
Rel.16 | 2020년 7월 | 5G V2X, IIoT, 비면허대역 활용, 전력효율개선, 시스템 성능 개선 |
Rel.17 | 2021년 12월(예상) | 커버리지 확대, 소량 데이터 전송, 비면허대역 활용, 성능 개선, 고주파 대역 개발 |
Rel.18 | 2023년(예상) | 6G 이행 단계, 고주파 대역 활용, B2B 서비스와 지능형 기술 등 5G 서비스 고도화 |
Rel.16 기술이 적용된 5G는 지금으로부터 1년 뒤인 2021년에 상용화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Rel.16 다음 버전인 Rel.17의 주요 변동 사항은 NR-U, NR for NTN, IoT for NR 등으로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추후 별도의 포스팅을 통해 말씀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Rel.15에서 eMBB, 그리고 Rel.16에서 URLLC가 지원 된다면 마지막 남은 mMTC는 언제되냐? 이미 눈치채셨겠지만 Rel.17에서 될 겁니다. Rel.17의 주요 변동 사항 중 IoT for NR이 있다고 말씀드렸는데 이것이 바로 mMTC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mMTC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NR Light라고 불리며, 10~20MHz 채널대역폭을 사용하면서 100Mbps 정도의 DL(다운로드) 속도를 지원할 것으로 보입니다. 즉 NR Light는 현재 LTE Cat.M1, Cat.M2의 5G 버전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Rel.17이 되면 현재의 LTE를 5G가 완전히 대체하는 수준이 될 것입니다. Rel.17 표준화가 원래 2021년 6월 예정이었다가 코로나 사태로 인해 2021년 12월로 연기된 상황인데 Rel.17 상용화 제품은 2022년이 되어서야 만나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Rel.18은 5G의 고도화 단계로 기존 Rel.15, 16, 17에서 누락되었던 부분과 추가 성능 개선 그리고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기능 개발 등의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Rel.16 규격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5G 특화망은 무엇인가요? (0) | 2023.02.11 |
---|---|
Rel.16 개요 (0) | 2023.02.11 |
4G LTE와의 차이점으로 이해하는 5G (0) | 2023.02.11 |
결론없는 화웨이의 보안 이슈 (0) | 2023.02.11 |
5G는 반쪽짜리인가? (0)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