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GPRS 개요

by 석사만세 2023. 2. 8.

인터넷과 이동전화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이동전화를 통한 무선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전화를 통한 무선데이터 서비스는 느린 속도와 비싼 요금으로 많이 확산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TSI는 GSM 네트워크를 기본으로 한 GPRS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

 

시장조사기관인 ARC에 따르면 2003년 말까지 전체 무선데이터 서비스 이용자의 68%가 GPRS를 사용하게 될 것이며 2006년 말에는 전 세계 GPRS 사용자가 6억 명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GPRS의 시장 상황은 3G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것은 대부분의 GPRS 사업자가 GPRS를 3G로 가는 과도기적 기술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GPRS는 GSM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데, GPRS 서비스 사용자는 회선 기반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53.6kbps의 패킷 기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GSM에서는 9.6kbps의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는 반면 GPRS는 이론적으로는 최대 171.2kbps까지 지원한다. 실제적인 속도는 동일한 셀 내에서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며 사용자수가 많아질수록 속도는 느려진다. 사실상 실제 최대 속도는 100kbps를 약간 넘는 정도이며 40 ~ 50kbps가 현실적이다.

 

GPRS는 GSM을 위한 새로운 Bearer 서비스이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접속을 단순화하고 성능을 개선시킨다. GSM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에 사용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GPRS는 통계적 다중화 원리(Statistical Multiplexing)를 사용한다.

 

사용자들은 GPRS를 통해 단축된 접속 시간과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얻게 된다. 기존 GSM 서비스는 데이터 접속을 설정하기까지 수 초의 시간이 소요되며 전송률도 9.6kbps 수준으로 제한되어 있으나 GPRS 서비스는 1초 정도의 접속 설정 시간과 10kbps ~ 100kbps 이상의 전송률을 지원한다. 또한 GPRS는 회선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서비스에 비해 사용자에게 유리한 과금 모델을 지원한다. 회선 교환 서비스는 접속된 시간을 기준으로 요금을 부과하는데 이러한 과금 모델은 단속적인(Burst) 트래픽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이것은 사용자가 실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은 시간에 대해서도 요금을 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패킷 교환 서비스는 전송한 데이터 양을 기준으로 요금을 부과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실제로 사용한 만큼만 요금을 내게 된다.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RS 시스템  (0) 2023.02.08
GPRS의 장점  (0) 2023.02.08
GSM 부가서비스  (0) 2023.02.08
Intra/Inter-MSC Handoff  (0) 2023.02.08
Paging - Land to Mobile  (0) 2023.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