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GSM 부가서비스

by 석사만세 2023. 2. 8.

GSM 시스템은 ISDN과 연동하여 음성 뿐만 아니라 비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단문 메시지 서비스도 부가적으로 제공한다. GSM은  새로운 서비스를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개방형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 되었다. GSM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ISDN 개념을 토대로 이루어지며 이동통신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변형된 상태이다.

 

 

GSM의 서비스에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형태의 서비스가 있는데 하나가 텔레포니 서비스(Teleservices)와 데이터 서비스(Bearer Services)가 있다. 텔레포니 서비스는 주로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데이터 서비스는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유발하는 두 개의 접속 포인트 간에 적절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DTMF(Dual Tone Multifrequency)는 전화망을 통해 다양한 제어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제어 방식이며 GSM은 DTMF를 지원한다.

 

① Facsimile GroupⅢ
GSM은 CCITT Group3 팩스 서비스를 지원한다. 일반적인 팩스는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하여 전화선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계되어 있으나 GSM 시스템에서는 교환기에 연결하기 위한 특별한 팩스 컨버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GSM과 아날로그 팩스간에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② SMS 서비스
GSM 네트워크 중 가장 편리한 기능 중 하나가 단문 메시지 서비스이다. SMS는 최대 160자(실제적으로는 170자)까지의 문자를 이동전화를 통해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SMS 서비스는 무선호출 서비스의 발전된 형태라고 생각할 수 있다. 만약 가입자의 단말기 전원이 꺼져 있거나 또는 서비스 지역 밖에 있을 경우 메시지는 SMS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가 가입자가 다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 되면 재전송 해준다.
이러한 기능(Store and Forward)을 통하여 메시지는 유실되지 않고 전송된다. SMS는 SIM에 저장될 수도 있다.

 

③ Cell Broadcast
Cell Broadcast 서비스는 SMS 서비스의 변형된 형태이다.
Cell Broadcast의 메시지는 최대 93자까지의 문자를 지원하며 특정 지역 내에 있는 모든 단말기로 동일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Cell Broadcast 서비스는 교통상황 알림이나 긴급 상황 알림에 유용하다.

 

④ 음성사서함
음성사서함 서비스는 일종의 자동응답기 기능을 제공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어떤 가입자에게 걸려 온 통화는 가입자의 음성사서함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가입자는 개인 사서함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⑤ 팩스사서함
이 서비스를 통해 가입자는 어떤 팩스 기기를 통해서도 본인에게 전송된 팩스 메시지를 받아 볼 수 있게 된다. 메시지는 팩스 서비스 서버에 보관되어 있다가 가입자가 요청하게 될 경우 희망하는 팩스 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해 준다.

 

⑥ Call Forwarding
가입자는 Call Forwarding(착신전환)을 이용하여 본인에게 걸려 온 전화를 이동전화 번호 이외의 다른 번호로 착신되게 할 수 있다. Call Forwarding은 이동 단말이 서비스 지역 밖에 있거나 또는 통화 중이거나 응답이 없을 때 조건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⑦ 발신금지 서비스
특정 이동전화 번호를 통해 발신되는 모든 호를 금지할 수 있다.

 

⑧ 착신금지 서비스
특정 이동전화 번호로 걸려 오는 모든 호를 막는 기능이다. 또는 조건적으로 착신호를 금지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로밍 중에 걸려 오는 호를 금지할 수 있다.


⑨ AoC(Advice of Charge)
AoC 서비스는 가입자에게 청구될 것으로 예상되는 통화료를 알려 주는 서비스이다. AoC에는 두 가지 형태의 서비스가 있는데 하나는 예상되는 통화료 전체를 알려 주는 서비스이고 다른 하나는 한 통화가 끝난 다음 즉시 과금 량을 알려 주는 서비스이다. 데이터 호에 대한 AoC는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되어 알려진다.

⑩ 호 보류 서비스
호 보류 서비스는 가입자로 하여금 현재 진행되고 있는 통화를 보류하고 다른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⑪ 통화중대기 서비스
통화중대기 서비스는 통화 중에 다른 호가 걸려 오고 있음을 알려 주는 서비스로 가입자는 통화 중 걸려 온 다른 호에 응답할 수도 있고 거절할 수도 있으며 또는 무시할 수도 있다.

 

⑫ 다자간통화 서비스
다자간통화 서비스는 다수의 통화자와 동시에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 3 ~ 6명까지 동시통화가 가능하다.

 

⑬ CLIP/CLIR
CLIP(Calling Line Identification Presentation) 서비스는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이며 CLIR은 발신 번호 표시를 금지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CLIR(Calling Line Identification Restriction) 서비스는 CLIP 서비스에 우선한다.

 

⑭ CUG(Closed User Group)
CUG는 마치 PBX(Private Branch Exchange)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유사하게 동일한 CUG내에서는 특정 자릿수의 번호로 다이얼링 할 수 있는 기능이다.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RS의 장점  (0) 2023.02.08
GPRS 개요  (0) 2023.02.08
Intra/Inter-MSC Handoff  (0) 2023.02.08
Paging - Land to Mobile  (0) 2023.02.08
Land to Mobile Routing  (0) 2023.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