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Local Area Network)은 근거리 통신망이라고도 하는데 동일 빌딩내 또는 동일 구내 등 기업내의 비교적 좁은 지역에 분산 배치한 각종 단말장치 사이를 상호 통신하기 위한 구내통신 네트워크이다. 구내에서 밖으로 나가면 그곳에는 공중통신망이 있고 정해진 전기통신 사업자만이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그러나 건물내이거나 구내라면 누구라도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만들어 이용할 수가 있다.
LAN은 1970년대에 미국 제록스사에서 개발한 새로운 분산 처리 시스템이다. 이제까지의 분산 처리 시스템은 호스트 컴퓨터를 중심으로 그 밑에 수많은 단말을 배치한 수직 분업이었으나 LAN 시스템은 중심이 되는 컴퓨터를 가지지 않고 대등한 컴퓨터를 다수 수평으로 연결한 수평 분업형으로 분산 처리되고 있다. 이 수평으로 연결한 컴퓨터를 뒤에 워크스테이션 또는 서버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이들 워크스테이션과 서버 간의 통신 수단으로 LAN을 만들었다. 이는 전화망으로 대표되는 공중통신망과는 전혀 다른 기술로 독자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LAN에는 하나의 케이블에 수많은 단말(PC, 워크스테이션, 프린터 등)을 연결하여 통신하고 있다. 이 때 많은 단말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면 혼란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사무실의 재배치, 이동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의 확장 및 변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화망과 같이 교환기로 집중 처리하는 통신망보다는 기능을 각 단말에 대등하게 가지게 하는 분산처리 네트워크 쪽이 적합하다.
하나의 케이블에 복수의 단말을 연결하고 어느 한 사람이 데이터를 보내면 다른 단말을 사용하기 어렵지 않을까 우려할지 모르지만, 컴퓨터 데이터는 패킷으로 보내기 때문에 패킷과 패킷 사이에 다른 단말의 패킷을 넣어서 보낼 수가 있다. LAN의 성능은 전송로의 전송 속도를 높일수록 좋다. 다행히 LAN은 구내에만 폐쇄된 통신망이기 때문에 전송로가 짧아 전송 속도를 높이기가 비교적 용이하다.
공중통신망은 전송 속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멀티미디어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LAN은 10Mbps 이상은 물론 100Mbps의 LAN도 이용할 수 있어 전송 속도는 문제가 없다. 멀티미디어는 우선 LAN으로 시작된다. 멀티미디어 LAN으로 B-ISDN에 사용될 예정인 ATM을 적용하고 하나의 케이블에 수많은 단말을 연결한 종래 방식 대신에 중심에 허브(Hub : 스위치)를 놓아 스타형 망을 구성하는 ATM-LAN이 등장하였다.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MN (0) | 2023.02.02 |
---|---|
SS No.7 (0) | 2023.02.02 |
패킷 통신 (1) | 2023.02.02 |
회선교환과 패킷교환 (0) | 2023.02.02 |
데이터 통신 (0)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