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코드리스 전화기

by 석사만세 2023. 2. 1.

코드리스 전화는 실내에 전화국으로부터 들어와 있는 가입자선과 연결된 접속장치(본체)가 있고 수화기와의 사이를 무선전파로 연결한 것이다. 코드리스 전화는 전화기 본체와 수화기 사이를 연결하는 선이 없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코드리스 전화는 기지국 역할을 실내에 있는 접속장치(본체)가 하고 있으며 전파의 송신 전력은 자동차용 휴대전화가 5W인데 비해 코드리스 전화는 10mW 이하(소전력형)이다. 통화반경(도달거리)은 50 ~ 100m 정도이고 송신 전력이 낮은 3mW의 미약 전력형은 통화 반경이 10m 정도이다. 주파수는 수화기에서부터 접속 장치인 본체까지의 상향은 250MHz, 접속장치에서부터 수화기까지 하향은 380MHz대를 사용하고 있다.

 

코드리스 전화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은 아날로그 자동차 휴대전화와 같이 12.5KHz 간격으로 분할하여 전부 89개 채널을 만들고, 그 중 2개 채널을 제어용으로 사용하며 나머지 87개 채널을 음성용 채널로 사용하여 비어 있는 채널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한다.

 

코드리스 전화는 자동차 휴대전화와 마찬가지로 같은 주파수대의 복수 채널을 여러 대의 전화가 같이 사용하는 다원접속 방식을 채용하여 효율적으로 주파수를 이용하고 있다. 어느 채널을 선택할 것인가는 접속장치와 전화기 사이에 있는 제어 채널이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결정된다. 채널이 비어 있는지 아닌지는 각 채널의 신호 레벨을 조사하여 기준치 이하의 것이 있으면 빈 채널이아고 판정한다.

 

코드리스 전화기를 사용할 때 수화기의 접속 잘못으로 다른 집의 접속장치(본체)와 연결되면 전화요금이 다른 사람에게 청구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코드리스 전화기와 접속장치 세트마다 식별부호(ID)를 주어 이 ID를 체크함으로써 접속해도 좋은 조합이 어느 것인가를 식별하고 있다.

 

코드리스 전화는 하나의 존(Zone)에서만 사용되기 때문에 통화중에 존을 횡단하여 다른 존으로 이동하거나 이동기가 있는 존을 추적해야 하는 휴대전화와 비교하면 제어는 훨씬 간단하다. 또한 존의 반경도 훨씬 작아서 접속 장치나 이동기의 전력이 적어도 된다. 따라서 코드리스 전화는 휴대전화보다 경제적이다.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 케이블의 종류  (0) 2023.02.01
교환기의 필요성과 발전과정  (0) 2023.02.01
전화기의 다이얼 방식  (0) 2023.02.01
전화기의 구조  (0) 2023.02.01
디지털 통신의 장점  (0) 2023.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