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비트란 무엇인가?

by 석사만세 2023. 1. 31.

통신 및 컴퓨터에서는 비트(bit)라는 단위가 사용되는데 데이터 통신과 디지털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신호와 디지털 신오의 전송 속도를 비트/초(bit/s, bps)로 나타내고 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10진수는 0부터 9까지 10개의 숫자를 조합해서 숫자를 나타내고 있다. 10진수에서 사용하는 10개의 숫자(0, 1, 2, 3, ...., 9) 중 0과 1 두 개의 숫자를 조합해서 나타낸 것이 2진수이다.


전기 스위치를 on으로 하면 전기가 흐르지만 스위치를 off로 하면 전기는 흐르지 않는다. 이 원리를 수학의 2진법에 대응한 것이 2진수이다. 2진수는 0과 1의 숫자만으로 표시하는데 0과 1의 한 자릿수를 비트라고 하며 컴퓨터 연산의 최소 구성 단위이다. bit는 binary digit의 준말이다.


바이트(byte)는 01100011과 같이 8개의 비트가 모여 한 개의 문자를 나타내는 것을 1바이트라고 하며 데이터의 최소 구성 단위이다. 1바이트는 워드에서 영문자, 숫자, 기호 중 한 문자를 나타내는데 한글의 경우에는 2바이트가 한 문자를 이룬다. 1바이트는 8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문자는 2의 8제곱인 256개의 문자이다.

 

1킬로바이트(1Kbyte)는 1,024바이트이며, 1메가바이트(1Mbyte)는 1,024킬로바이트, 1기가바이트(1Gbyte)는 1,024메가바이트이다. 1킬로(K)가 1,024가 되는 것은 컴퓨터는 2진수로 데이터를 나타내기 때문에 K는 2의 10승 = 1,024와 같이 계산되는 것이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이나 데이터 통신에서 초당 전송되는 신호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Baud라는 단위가 사용된다. 정보통신에서 2진 신호에서는 Baud 속도와 bps(bit per second)가 동일하다. 2개의 비트가 한 개의 신호 단위로 이루어진다면 Baud 속도는 bps 속도의 1/2이 된다. 이 때 신호 단위는 bouble bit이며 00, 01, 10, 11의 네 가지 비트의 조합형태가 된다. 또한 3개의 비트가 한 신호 단위로 사용되는 경우 Baud 속도는 1/3이 된다. 따라서 Baud와 bps 관계는 다음과 같다.

 

200Baud 이하를 저속도, 200~600Baud를 중속도, 600~2400Baud를 고속도 그 이상을 초고속도라고 한다.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파란?  (0) 2023.01.31
Error Rate  (0) 2023.01.31
데시벨이란?  (0) 2023.01.31
무선통신에 관한 원초적인 의문점(2)  (0) 2023.01.31
무선통신에 관한 원초적인 의문점(1)  (0) 2023.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