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다중접속 방식

by 석사만세 2023. 2. 7.

주파수 자원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채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고 GSM은 다중접속 방식으로 TDMA를 선택하였다.(TDMA는 FDMA의 개념을 포함하는 개념임) GSM은 TDMA와 FHMA(Frequency Hopping Multiple Access)를 결합한 방식과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를 사용하여 기지국에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GSM에서 8채널 다중시의 전송 속도는 270.833kbps로 고속이며, 기지국 서비스 영역이 약 35km로 넓기 때문에 멀티패스 페이딩(Multipath Fading)에 대책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적응 등화기가 필수적이다. 또 도시와 같이 지연 분산이 1 ~ 2㎲의 환경 하에서는 이동 속도가 늦은 경우 장시간 버스트 에러가 계속되게 된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슬롯마다 주파수를 바꾸는 주파수 호핑을 이용하고 있다. 다른 기지국마다 호핑 패턴을 바꿈으로써 동일 채널 간섭에 대해서도 다이버시티 효과가 기대된다. GSM은 저속 주파수 도약 방식을 이용하는데 저속 도약은 단위 Hop당 비트수로 정의된다. 정상 비율은 217hops/s에 270kbps의 전송률을 가지므로 결과적으로 약 1200bits/hop이다.

 

 

순방향과 역방향 주파수 대역은 ARFCN(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s)라 불리는 200KHz의 채널로 나뉘어진다. ARFCN은 순방향과 역방향 링크의 쌍을 나타내며 각 링크는 45MHz만큼 떨어져 있고 각 채널은 TDMA를 사용하는 최대 8명의 가입자들에 의해 공유된다. 8명의 가입자 각각은 동일한 ARFCN을 사용하고 프레임당 고유한 타임슬롯을 사용한다. 순방향과 역방향 링크에서의 무선 전송은 채널 데이터율 270.833kbps(1625.0/6.0kbps)로 이루어진다.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GSM Frame  (0) 2023.02.07
GSM 채널  (0) 2023.02.07
GSM Channel and Frame Structure  (0) 2023.02.07
GSM의 기능 평면  (0) 2023.02.07
GSM 프로토콜  (0) 2023.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