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GSM Handoff

by 석사만세 2023. 2. 7.

셀룰러 네트워크에서는 무선 채널을 통하여 음성과 데이터를 어느 정도의 품질을 유지하며 전송해야 한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서비스 지역은 셀로 지역적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가입자가 셀간을 이동할 때 핸드오프가 일어난다.

 

GSM에는 다음 네 가지의 핸드오프가 있다.

- 동일 셀 내에서 채널, 즉 타임슬롯간의 핸드오프
- 동일 BSC내의 핸드오프
- 동일한 MSC내에서 서로 다른 BSC간의 핸드오프
- 서로 다른 MSC간의 핸드오프

 

위의 네 가지 형태 중 처음 두 가지(타임슬롯간의 핸드오프와 동일 BSC내의 핸드오프) 핸드오프를 Internal Handoff라고 하며 BSC의 제어를 받는다. 핸드오프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셀은 단말기가 적정한 신호 세기와 품질을 유지하며 음성이나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는 지역을 의미하는데, 만약 어떤 셀에서 통화 중인 단말기가 이동 중에 신호의 세기가 약해짐을 감지하면 이를 BTS 및 BSC로 보고하여 다른 셀로의 전환을 요구하게 된다. Internal Handoff에서는 핸드오프에 사용되는 신호 처리를 간소화하기 위해 BSC는 핸드오프의 수행 결과만을 MSC로 보고한다.

 

나머지 두 가지(동일한 MSC내에서 서로 다른 BSC간의 핸드오프와 서로 다른 MSC간의 핸드오프)의 핸드오프는 External Handoff라고 부르며 MSC의 제어를 받는다. External Handoff는 MSC나 단말기에 의해 초기화될 수 있다. Idle Time Slot 동안 단말기는 최대 16개 인접 셀의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를 탐색하고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핸드오프를 위한 6개의 Best Candidate를 선택한다. 이 정보는 BSC를 거쳐 MSC로 보고되며 최소 1초에 한번 보고되어 핸드오프 알고리즘으로 사용된다.

 

GSM에서 핸드오프로 주로 사용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모두 전력 제어와 관련된 것이다. 그중 하나가 Minimum Acceptable Performance 알고리즘으로 핸드오프 이전에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즉, 어떤 특정 값 이하로 신호가 약화될 때 단말기의 출력을 우선 높이고 그래도 신호 품질이 개선되지 않을 때만 핸드오프를 한다. 이 방식은 매우 단순하여 많이 사용되지만, 셀의 경계 지역에서 단말기가 최대 출력으로 전송하다가 다른 셀로 이동해 버리면 핸드오프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다른 방식은 Power Budget이라는 방식으로 신호의 출력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핸드오프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하면 전력 제어 이전에 핸드오프가 수행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셀의 경계에서도 원활한 핸드오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인접 채널로부터의 간섭을 줄여 주지만, 복잡하여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GSM Call Setup  (0) 2023.02.07
GSM 단말 Registration  (0) 2023.02.07
기타 부가시스템  (0) 2023.02.06
OSS  (0) 2023.02.06
NSS  (0) 2023.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