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무선호출 통신

석사만세 2023. 2. 4. 13:42

무선호출(Radio Pager) 서비스는 가입자 회선을 무선화하여 단말기를 가지고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음이나 부호(숫자), 문자 등을 송신함으로써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이동성 서비스이다.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상대를 호출하는 기능은 전화망이 담당하며 무선호출망은 단지 메시지를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서 전달하고 수신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무선호출망은 단말기가 메시지 수신 기능만을 가지는 일방향 통신망으로 전화망에 종속된 망이며 독자적으로 존립할 수는 없다.

 

무선호출은 단방향 통신이다. 자동차, 휴대통신과 같이 지역(Zone)간 이동에 필요한 추적 교환접속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은 복잡하지 않다. 무선호출망 구성은 이동전화망과 마찬가지로 교환기, 기지국, 가입자 단말기, 그리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중계회선과 전용회선(신호용 데이터 회선)으로 되어 있다. 서비스 지역은 행정 단위의 경제권으로 하고 몇 개의 주변기지국을 가지는 중앙기지국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국이 전화망의 시내 교환기와 연결되어 있다. 무선호출의 호출 과정은 아래와 같다.

 

- 우선 무선호출 전화번호를 다이얼하면 교환기는 무선호출 전용 중앙기지국에 접속해서 무선호출 번호를 통지한다.

- 통지를 받은 중앙기지국에서는 호출된 번호가 등록되었는가를 조사한 다음 무선호출의 방식을 조사한다. 무선호출 전용 방식이면 호출을, 표시 방식이면 메시지를 남기게 한다.

- 중앙기지국은 호출번호와 영업지역을 조회하고 영업지역 내의 무선호출국에 호출번호와 받은 메시지를 보낸다.

- 무선호출국에서는 선택 호출신호와 메시지를 전파에 실어 송신한다.

- 무선호출기는 수신된 전파가 자신의 호출번호와 일치하는가를 조사해서 일치하면 벨이 울리고 메시지를 표시한다.

 

국내에서 운용 중인 무선호출 시스템의 신호 전송방식은 영국에서 제안되어 국제규격화된 POCSAG 방식으로 채널당 주파수 간격은 25KHz이며 500bps 또는 1,200bps의 전송 속도를 가진다.(국내는 1,200bps급 사용) POCSAG 방식은 무선호출의 신호음, 부호(숫자), 문자 표시 등에 대한 기술기준을 규약하고 있으며 한국을 비롯한 미국, 유럽 등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고속 무선호출은 POCSAG 1,200bps 방식에 비해 4배 이상의 가입자 수용 능력을 가지고 있어 채널 이용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회사의 운용 및 유지 보수 등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