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이동통신기술

위성통신의 특징

석사만세 2023. 2. 4. 13:41

1) 서비스 지역의 광역성 : 위성으로부터 지상을 향해 발사한 전파는 넓은 지역에 미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을 통신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낙도, 오지, 사막, 산악지대 등 지리적 장애에 좌우되지 않는 회선 구성이 가능하다. 통신 품질이 서비스 지역 내의 어느 지점에서도 거의 균일하다.

 

2) 동보성, 다원접속성 : 한 지점으로부터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다수의 수신 대상 설비로 동시에 동일 내용의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즉 동보통신에 적합하다. 널리 분포된 다수의 지구국이 다원접속을 통해 공동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회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내재해성 : 통신지점 간에는 우주공간에 있는 위성의 중계점에 지나지 않아 지진, 풍수해 등 지상 재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통신망 설정의 신속성 : 지구국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통신회선의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에 걸친 통신망 건설이 비교적 단기간에 가능하다.

 

5) 통신거리에 대한 경제성 : 설치비와 유지비는 통신거리와 관계 없기 때문에 지상거리가 멀어도 지상 방식보다 경제적이다.

 

이상과 같은 이점이 있는 반면에 다음과 같은 제약 조건이 있다.

 

1) 지연 시간의 영향 : 회선 길이가 위성까지 왕복으로 7만 ~8만 Km에 달하기 때문에 약 0.5초의 지연 시간이 생기므로 통화시에 부자연스러움을 느낀다.

 

2) 보안 대책의 필요 : 지역내에는 위성에서 보내는 전파는 어느 곳이라도 미치기 때문에 안테나를 설치하면 누구나 수신할 수 있어 통신의 비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암호화 등 보안 대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