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궤도의 종류
궤도의 종류는 정지궤도, 저궤도, 중궤도, 장타원 궤도 등이 있다. 정지궤도 이외의 위성은 지상에서 볼 때 지구의 주위를 돌고 있는 것 같이 보이기 때문에 주위위성이라 부른다. 위성은 지구에서 가까운 궤도에서는 빨리 움직이고 멀리 떨어진 궤도에서는 천천히 움직인다.
1. 정지궤도(GEO)
- 정지위성이 도는 적도 상공 3만 6,000Km의 원궤도로서 위성이 항상 같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대단히 편리하나 위성까지의 거리가 멀고 높은 위도지역(북구, 러시아, 캐나다 등)에서는 안테나의 각도가 수평에 가까워 사용하기가 어렵다.
2. 저궤도(LEO)
- 고도 500~2,000Km의 원궤도로 위성은 1~2시간에 한 번씩 지구의 주위를 돌기 때문에 적어도 수십 기의 위성을 쏘아올려 항상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있어야 한다.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전송 지연시간이 짧고 전파의 송신 전력이 약해도 괜찮은 장점이 있다. 이리듐 등 이동통신 위성 등에 사용된다.
3. 중궤도(ICO 또는 MEO)
- 고도 1만 Km 정도의 원궤도로 수기 내지 수십 기의 위성으로 전 세계를 커버할 수 있다. 저궤도와 정지궤도 위성의 중간에 해당하는데 ICO(Inmarsat-P)등 이동통신 위성에 사용된다.
4. 장타원 궤도(HEO)
- 원지점의 고도가 약 4만 Km, 근지점의 고도가 1,000Km 정도의 가늘고 긴 타원형 궤도로 원지점 부근에서는 위성이 천천히 움직이므로 지상에서 보이는 시간이 길고 2~3기의 위성을 교차해서 사용하는데 러시아 등 높은 위도지역에서 이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