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MN
인텔리전트 네트워크와 ISDN을 이용한 네트워크의 통신 시스템은 점차 기능이 복잡하고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교환기뿐 아니고 전송 장치도 프로세서에 들어있는 소프트웨어로 제어되기 때문에 그것을 관리하는데에는 복잡한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 한다. 또한 통신장치를 만드는 제조업체도 수가 많아지고 보수, 운용, 관리를 위한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매우 불편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각자의 통신망을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통신사업자간의 운용은 일반 고객에 대한 통신 서비스의 품질 및 안정성에 영향을 주므로 상호 운영성도 매우 중요하다. 이상과 같이 통신망의 환경 변화에 따른 합리적인 통신망 운용과 다양화되는 통신 서비스 욕구를 충족하고 기존의 통신망 관리의 한계성을 극복하여 총체적이고 일원화된 통신망 운용 관리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통신망 운용 관리기술을 전기통신관리망(TMN :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이라 한다.
OSI 표준에서는 통신망 관리기능으로 장애 관리, 구성 관리, 보안 관리, 성능 관리, 회계 관리의 5개 항목을 규정하고 있다.
1) 장애 관리 :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 원인 규명 작업을 지원하는 것이다. 가동 중인 시스템의 동작이 이상을 일으키면 긴급 복구해야 한다.
2) 구성 관리 : 장애의 원인 규명에도 필요하다.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구성 요소로서 어떠한 것이 어디에 설치되어 있고 상호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 하는 정보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3) 보안 관리 : 정보통신망이 발전하면서 컴퓨터 범죄인 해커, 지적재산권 침해 등 새로운 사회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나 정보의 안전 보호도 통신망 관리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4) 성능 관리 : 시스템의 동작 상태가 위험한 수준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거나 미리 예고하는 기능이다. 과잉 설비인지 시스템에 요구되는 성능을 얻기 위해 필요한 것인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5) 회계 관리 : 요금 계산의 근거가 되는 이용 데이터를 정확히 수집하고 수익자 부담원칙을 정하여 총비용을 적정하게 배분하는 것이 시스템의 건전한 운영을 위해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