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만세 2023. 2. 2. 10:24

우리들이 전화를 걸 때 전화기와 교환기 사이,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에 다이얼 번호와 각종 제어를 위한 정보를 주고 받게 된다. 발신 신호, 호출 신호, 다이얼 숫자의 선택 신호 등을 주고 받아야 정상적인 통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화 상대방까지 회선을 연결하기 위해 주고 받는 정보를 신호(Signaling)라 하는데 어떤 신호를 어떤 순서에 맞추어 어떤 방법으로 주고 받을 것인가를 정하는 것을 신호 방식이라 한다. 신호 방식에는 전화기에서 교환기(시내) 사이에 주고 받는 가입자선 신호 방식과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에서 주고 받는 국간 신호 방식 두 가지가 있다. No.7 공통선 신호 방식은 국간 신호 방식의 일종이다.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에 주고 받는 각종 신호를 국간 신호 방식이라 한다. 이런 신호에는 다이얼 번호 신호를 처음 받는 교환기가 중계 경로에 있는 다음 교환기에게 전달하기 위한 선택 신호, 요금 정보 전송과 통신망 관리 운용에 사용되는 신호 등이 있다. 국간 신호를 보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스텝 바이 스텝(Step by Step) 교환기와 크로스바 교환기에서 현재까지 사용하는 방식으로 통화를 하는 회선과 각종 회선과 각종 신호를 보내는 회선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회선을 이용하여 그 통화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주고 받는 개별선 신호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개개의 통화 회선에 모두 신호 장치를 하여야 하므로 기능 확장이나 고도화에 지장이 많은 방식이기 때문에 교환기 상호간에 구성된 통화 회선과는 별도로 신호만을 주고 받는 신호 전용회선을 따로 구성하여 공통으로 보내는 방식인 공통선 신호 방식을 개발하게 되었다.

 

공통선 신호 방식은 전자교환기와 같이 제어장치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신호 정보의 집중 처리에 의해 많은 신호정보 처리가 가능하고 연결 시간이 감소되기 때문에 공통선 신호 방식을 주로 이용하게 된다. No.7 신호 방식도 공통선 신호 방식의 일종으로 ISDN이나 IN(Intelligent Network) 등에 표준 신호 방식으로 채용하고 있다.

 

No.7 신호 방식은 64Kbps라는 고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고 통신과 신호가 분리됨으로써 함께 보내는 불편이 없어져 통화 중이라도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신호 용량도 크게 되어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신호를 마련할 수 있어 다양한 서비스를 실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