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자 선로와 FTTH
전화국에서 가입자의 집까지 연결하는 케이블을 가입자선이라고 한다. 도시에서는 가입자선을 지하에 매설하지만 주택가나 교외에서는 전주에 전화 케이블을 설치한다. 전화 가입자선은 전화국에서 각 가입자의 집까지 개별로 전화선을 끌어가고 있다.
전력선의 경우는 처음부터 개별 전력선이 집에까지 직접 가는 것이 아니라 공통선에서 분기되어 집집마다 배선하고 있으나 전화 가입자선은 두 가닥의 구리선으로 된 한 쌍의 선이 각 가입자의 집까지 개별적으로 직접 배선된다.
가입자 교환기(Local Switch)가 설치되어 있는 전화국은 수용구역 내 모든 가입자에 대해서 전화국에서부터 가입자선이 설치되어 있다.
정보화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불편 없이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모든 가정에까지 광 케이블이 가설되어야 한다. 네트워크 내의 중계 전송로에는 예전부터 광 케이블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교환기에서 전화기까지의 가입자선은 앞으로 광 케이블로 바뀌게 될 것이다. 각 가정에까지 직접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을 FTTH(Fiber To The Home)이라 하는데 FTTH는 광파이버 외에 각 사용자마다 광전기 변환장치가 필요하며 이는 많은 예산이 소요된다.
이와 같이 전화국과 각 가정을 연결하는 통신망을 새로 변경, 설치하는데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도 기술의 진보에 따라 경제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방법을 생각하여야 한다.
종래의 전화선 네트워크는 교환기가 있는 전화국에서 각 가정까지 한 가닥씩 동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미래의 수요를 예상하고 몇 천, 몇 만 회선의 케이블 가닥을 미리 설치해 놓고 수요에 따라서 하나씩 가정까지 분기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광 케이블은 음성급 신호만 보낼 수 있는 구리선에 비해 광대역 신호인 데이터 영상신호 등 비음성급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누화, 잡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통신 서비스는 현재의 듣는 서비스에서 보는 서비스 위주로 변화할 것이다. 집안에서 광대역 화상전화를 이용하여 백화점에 진열된 상품을 생생한 고해상도의 영상으로 쇼핑하고, 병원에 갈 필요없이 가정에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원격진료 서비스와 고속의 데이터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전화선을 광 케이블로 대체하는 경우에도 단순히 동선을 일시에 광 케이블로 바꾸어 각 가정에 연결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방식은 건설 비용이 엄청나게 들기 때문에 좀 더 경제적인 방법들이 강구되고 있다. 즉 ATM 교환기로부터 아파트 단지 등 주택이 밀집해 있는 지점까지만 광 케이블을 깔고 여기서부터 각 가입자까지는 구리선으로 연결하는 FTTC(Fiber To The Curb)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FTTO(Fiber To The Office)는 사무실 빌딩이 집중되어 있는 도심의 업무지역을 대상으로 한 광 케이블 네트워크로서 교환국과 사무실이 있는 각 빌딩까지 1대 1로 광 케이블을 직접 연결시키는 형태이다. 수요자가 많으면 다중 전송에 따라 광 케이블 설치 비용을 흡수할 수 있어 대도시 업무지역의 빌딩과 사무실에는 광 케이블 가입자선을 적은 비용으로 도입할 수 있고, 도심지역 등 지하 관로의 용량이 부족해지고 있는 지역에서는 특히 효과적인 수단이다.